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공장의 누리호 엔진 생산 현장.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차세대발사체 개발의 주역으로 선정돼 조달청과의 최종계약을 끝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누리호의 뒤를 잇는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본격 시작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9일 공시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 사업 최종 계약에 따르면, 총 2조132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9505억원을 받아 발사체를 개발한다. 차세대발사체는 대형위성 발사와 우주탐사에 활용하기 위해 누리호보다 탑재 용량과 궤도투입 성능 등을 향상해 개발한다. 2030년부터 총 3회 발사될 예정이다. 2032년에는 달 착륙선을 발사하는 게 목표다.
이창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최종 기업 선정이 완료된 만큼 본격 설계에 착수해 주요 일정에 맞춰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항우연과 함께 차세대 발사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