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가 3월 26일~11월 30일에 걸쳐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로 제작한 달 전체 지도. / 과기정통부 우리나라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당초 계획했던 1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그동안의 활동 결과를 정리하고 새로운 사진을 공개하는 등 1주년 기념행사가 26일 열렸다. 다누리의 수명은 2년 연장돼 2025년 말까지 활동하게 된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내년 1월 31일까지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 전(展)>이 전시되고 있는 가운데 26일 열린 다누리 1주년 기념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이 개최했다. 행사의 공식명칭은 '다누리 임무운영 성공 및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 전(展) 개최 기념행사'. 이날 행사에서는 석현정 카이스트 미술관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조성경 과기정통부 1차관의 축사, 이상률 항우연 원장의 기념사, 김대관 미래혁신연구센터장(前 달탐사사업단장)의 다누리 운영현황 및 계획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으며, 최홍훈 롯데월드 대표이사, 다누리 개발‧운영 관련자 등이 참석하여 다누리의 임무운영 성공과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 전(展) 개최를 축
우주항공특성화재단이 문을 열고 창립기념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 사천시 우주항공청 개청을 견인하고 지역 맞춤형 우주항공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우주항공특성화재단이 창립했다. 우주항공특성화재단은 21일 경남 사천시청 대강당에서 재단 창립식을 갖고 이를 기념하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천시와 재단에 따르면, 우주항공특성화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비영리법인으로 국내외 항공우주산업의 구조 및 현황분석을 통한 지역의 자립적 발전역량 강화와 함께 우주항공산업클러스터 조성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우주항공특성화재단의 목적사업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항공산업 기반의 위성 활용 산업클러스터 조성 및 핵심 소재‧부품‧장비 제조기술 보급 등 미래형 우주항공 특성화 사업모델 개발. 2. 우주항공산업의 구조분석을 통한 연구개발, 제조, 시험평가, 운영, 활용 등 분야별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및 종사자 직무능력 향상 교육체계 구축. 3. 국가전략사업(정부의 초광역협력지원전략, 지역발전투자협약,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등)과 연계한 우주항공특성화전략 및 우주항공정책 수립 지원. 4. 우주항공산단 입주기업 유치 및 판로개척을 위한 국제 항공우주산업박람회 개최.
카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국가우주위원회 회의를 열고 우주개발에서의 국제협력을 강조했다. 그 위의 사진은 아르테미스1 미션에서 달 궤도를 돌고 온 '오리온' 우주선. / whitehouse, ESA "우주는 매우 특별한 기회의 땅이라는 것을 동의하기 때문에 우리가 모였다고 나는 믿습니다. 우리의 의무이기도 한 임무는 그 기회를 실현시키고 후대를 위해 우주를 보존하는 것입니다. (I believe we are all here together because we agree space is a place of extraordinary opportunity. So, our task, dare I say our duty, as nations must be to work together to make that opportunity real and to preserve it for future generations.)" 카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현지시간 20일 워싱턴DC에서 열린 제3차 국가우주위원회(National Space Council) 회의에서 유인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통해 2020년대 말까지 미국 우주비행사와 외국인 우주비행사를 함께 달 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재무그룹을 신설하고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선임하는 등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15일 시행했다"고 18일 밝혔다. KAI는 경영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재무그룹을 신설하고 재무그룹장(CFO)에 이창수 실장을 상무로 승진 발령 냈다. 또한 미래사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미래비행체 연구실'과 '유무인 복합체계연구실'을 신설하고, 미래형항공기체(AAV), 유무인 복합체계, 미래 소프트웨어(SW) 개발에 집중하기로 했다. 기존의 '수출사업실'은 '아시아·유럽·중남미실'과 '중동·아프리카·미국실' 등 2실로 분리해 지역별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불안정한 글로벌 항공우주산업 생태계 환경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관리(SCM) 기능을 강화하고, 기존 사업·지역별 구매 방식을 물종별 구매 체계로 전환했다. 임원 인사에서는 CS센터장 이상재 상무를 전무로 승진하고, 이창수 재무그룹장 등 6명을 상무로 신규 선임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는 미래 사업에 대한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고효율 조직으로 전환에 중점을 뒀다"라면서 "올해 선포한 글로벌 KAI 2050 비전 달성을 위해 분야별 전문성을 높이고 책임경영을
민간주도 '뉴스페이스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우주산업 스타트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대한상의 지역경제포럼. / 연합뉴스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은 도전 위해 우주 분야 스타트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투자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13일 오전 경남 사천상의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의 '제9차 지역경제포럼(경남)'에서 우주항공과 방산 분야가 더 성장하려면 민간 주도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스타트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해동 경상국립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부 교수는 "국내 우주항공 산업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발전 방향이 여전히 정부 주도 우주산업인 '올드스페이스'에 머물러 있다"면서 "민간 주도의 다양한 우주산업·서비스를 일컫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은 도전과 해외 경쟁력 제고 노력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잘하는 로봇·반도체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우주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다"며 "이를 위해 우주 분야 스타트업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투자환경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우주산업은 국가안보 연관 산업이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산업
15개월만에 뉴셰퍼드 로켓 발사를 추진한다고 알리고 있는 블루오리진 홈페이지. "12월 18일 뉴셰퍼드 로켓 발사를 추진합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오리진이 X에 남긴 글이다. 우주 탐사기업 블루오리진이 15개월만에 로켓 발사를 재개하는 것이다. 블루오리진은 현지시간 12일 X를 통해 "우리는 이르면 오는 18일 뉴셰퍼드 로켓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람은 탑승하지 않으며, 우주에서 실험을 위한 33개의 과학 및 연구물이 실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셰퍼드 로켓 발사는 2022년 9월 이후 15개월 만이다. 18일 뉴셰퍼드 발사를 예고하고 있는 블루오리진의 X. 당시 무인 캡슐을 장착한 뉴셰퍼드는 텍사스에서 발사된 후 1분 만에 약 8㎞ 상공에서 부스터 엔진이 갑자기 불꽃을 내뿜으며 떨어졌다. 자동으로 로켓에서 분리된 캡슐은 낙하산을 펼치고 지상에 착륙했으며, 캡슐에는 과학 장비 등이 실려있었다. 블루오리진은 발사 실패가 로켓 엔진 노즐의 '구조적 결함'이 원인이라고 올해 3월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뉴셰퍼드 발사는 23번째였다. 15개월만에 진행되는 뉴셰퍼드 로켓 발사는 블루오리진이 우주관광사업을 재개하기 위한 것이다.
시험발사체 ‘한빛-TLV’가 2023년 3월 19일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 이노스페이스 우주 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가 코스닥 상장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예심)를 청구한 것이다. 2017년 설립된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로켓엔진으로 소형발사체를 만들고 있다. 소형발사체는 위성사업자가 원하는 궤도에 인공위성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올해 3월 '한빛(HANBIT)-LTV' 발사에 성공, 상업발사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의 로켓엔진기술을 보유한 국내 민간 최초 우주 발사체 기업이 됐다. 이노스페이스의 하이브리드 로켓엔진은 고체연료인 파라핀(Paraffin)과 액체상태의 산화제(LOx)를 추진제로 사용한다. 폭발 위험이 없고 제작 기간이 짧아 안전성·가격 경쟁력이 높다. 인프라도 뛰어나다. 소형발사체 기업의 경우 발사장이 중요하다.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인 시험발사를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노스페이스는 브라질과 호주 등지에 발사장을 확보하고 있다. 국내와 노르웨이 등지에서 추가 발사장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는 IPO를 계기로 민간 우주시대를 주도하는 스페이스 모빌리
우주가 핫이슈가 되고 있다. 순수 과학기술의 영역은 물론이고 국방과 경제에서 우주산업은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우주 선진국 미국의 경우, NASA의 중요 작업이 스페이스X 같은 민간기업의 성과와 함께하는 등 민관협력은 우주산업에서 기본이 되고 있다. NASA가 진행하고 있는 'Break the Ice Lunar Challenge'는 그 일단을 보여주는 이벤트다. "우리의 목표는 달에서 사는 것을 현실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고, 얼음을 깨라는 것은 그 임무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이다"라고 NASA의 이 프로그램 매니저인 데니스 모리스는 말했다. 2020년에 고안된 '브레이크 더 아이스'는 혁신가들에게 달 남극의 험한 지역을 통과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을 만드는 일을 게임처럼 해결해 보라고 맡겼다. 이 로봇들은 달 표면을 구성하는 먼지투성이의 얼음 같은 흙인 달의 원형 지대를 파고들어 현장 내 자원 활용(ISRU) 처리를 위한 2차 장소로 운반할 수 있어야 성공한 것으로 한다. 향후 NASA 임무에 이들 로봇이 배치된다면, 이 시스템들은 태양빛을 받지 못하는 달의 영구적인 그늘진 지역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혹독한 추위에서 살아남
한화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지구관측 위성이 4일 오후 제주에서 발사되고 있다. / 한화시스템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민간주도 상용 지구관측 위성이 발사됐다. 한화시스템이 자체 개발해 제작한 '소형 SAR 위성'이다. 국내 첫 발사 성공이다. 한화시스템은 "자체 개발·제작한 '소형 SAR(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다) 위성'을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4일 오후 2시 정각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SAR 위성은 '우주의 눈'으로 불리는 작지만 강한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이다. 한화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했다. 가로 2m, 세로 1m 크기의 100㎏급이다. 해상도는 1m(지표면 가로·세로 1m 식별)다. 한화시스템 측은 “오늘 오후 2시 정각에 발사된 한화시스템이 개발하고 제작한 ‘소형 SAR 위성’이 목표한 우주궤도에 안착해 오후 15시45분 40초에 지상관제센터로 첫 위성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출했다”고 말했다. 지상관제센터와 쌍방 교신은 이날 오후 7~8시에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제주 해상 발사는 지난 7월 한화시스템-제주특별자치도간 ‘제주 민간 우주산업 육성 MOU’ 체결을 통해 제주 우주산
지난 9월 발사된 일본의 달 탐사선 '슬림'이 내년 1월 20일 달 착륙을 시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 JAXA 일본 최초의 달 착륙을 목표로 하는 탐사선 '슬림(SLIM)'이 이르면 다음 달 20일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일본 공영 NHK가 1일 보도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달 무인탐사선 '슬림'이 2024년 1월 20일 0시, 달 착륙을 시도해 20분에 걸쳐 착륙할 예정이다. 성공하면 세계에서 5번째로 달 착륙을 하는 국가가 된다. 슬림은 올해 9월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일본 최초의 달 착륙을 목표로 현재 비행을 계속하고 있다. 슬림은 이달 25일 달을 도는 궤도에 진입해 고도와 궤도를 수정한 뒤, 다음 달 20일 0시께부터 착륙을 위해 강하를 시작해 약 20분에 걸쳐 착륙할 예정이다. 당초 달 착륙은 다음 달 하순에서 2월 초순 시도될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슬림은 목표 지점에 대한 오차를 100m 이내로 줄이는 '핀포인트 착륙'을 실시할 계획이다. 착륙 후에는 탑재된 특수 카메라로 달 표면 암석에 포함된 광물의 종류 등을 측정해 의문이 많은 달의 기원을 규명할 계획이다. 달 착륙에 성공하면 구소련,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