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XA가 공개한 대형 우주쓰레기. 50m 떨어져 촬영한 11m짜리 로켓 추진체 쓰레기다. / JAXA 지구 궤도를 떠도는 수십만 개의 우주쓰레기를 청소하는 임무에 한 줄기 빛이 비치기 시작했다. 일본의 위성이 목표물로 삼았던 거대한 우주 잔해를 근접 포착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 이로써 우주 쓰레기 중 일부를 제거하는 상업 서비스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JAXA와 우주 스타트업 ‘아스트로스케일(Astroscale)’과 과학매체들에 따르면, 아스트로스케일과 JAXA가 손잡고 발사한 ‘아드라스-J(ADRAS-J)’ 위성이 지난 14일 4가지 목표물 중 하나에 50m까지 접근했다. 아드라스-J 위성은 이 물체를 촬영했고, JAXA가 이 사진을 공개했다. ‘활성잔해제거위성’으로도 알려진 아드라스-J는 올 2월 로켓랩의 일렉트론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 위성은 목표물을 포착, 한 쌍의 로봇팔로 잡아 궤도 밖으로 끌어내 소각시키는 기능까지 갖췄다. 아스트로스케일은 JAXA와 ‘상업용 잔해물 제거 실증 프로젝트(CRD2)’를 진행 중인 업체로 아드라스-J 위성은 이 프로그램 중 하나다. 이번에 관찰된 물체는 2009년 온실가스 관
신스펙티브와 로켓랩의 CEO들이 계약 체결 후 악수하고 있다. / Synspective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우주산업이 민간기업으로, 국가간 협력으로 다각화되고 있다. 일본 민간위성을 뉴질랜드 출신이 설립한 미국 회사에서 발사 대행을 맡아 쏘아올리는 식이다. 일본의 레이더 이미징 기업 ‘신스펙티브(Synspective)’가 우주발사체 기업 '로켓랩(Rocket Lab)'과 일렉트론 로켓 발사·이용 10회 추가 계약을 맺었다. 로켓랩으로선 사상 최다 횟수·최대규모의 발사 계약이다. 업계의 관심을 끄는 구체적인 액수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로켓랩과 미국 언론에 따르면, 두 기업은 17일 도쿄에서 만나 StriX 소형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을 탑재한 일렉트론(Electron) 로켓의 추가 발사와 이용에 합의했다. 계약 기간은 내년부터 2027년까지 3년이다. 로켓랩의 로켓의 상단에 탑재된 신스펙티브 SAR 위성. / Rocket Lab 뉴질랜드 국적의 피터 벡이 세운 로켓랩은 2020년부터 일렉트론 로켓을 통해 신스펙티브의 SAR 위성 4개를 모두 발사했다. 그 가운데 가장 최근 발사는 지난 3월이다. 새 계약과는 별개로 올해 말에 두 번의 발사를 더 남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해 있는 보잉의 스타라이너. 아래에 지중해가 보인다. / NASA 6월 14일에서 18일로, 22일로, 다시 26일로... 미국 보잉의 첫 승무원시험비행(CFT) '스타라이너(Starliner) 캡슐'의 지구 귀환이 또다시 연기됐다. 세번째다. 이번에는 우주선의 추진기에 문제가 생겼고 앞서 불발된 우주유영까지 수행한다는 이유다. 이로써 스타라이너의 국제우주정거장 ISS 1주간 체류 계획이 상당히 늘어나게 됐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와 우주매체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NASA는 18일 원격회의를 통해 스타라이너 발사 후 거의 3주가 되는 26일에 ISS에서 우주비행사 임무를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6일 지구 착륙은 미국 동부시간 오전 4시 51분 뉴멕시코의 화이트 샌즈 우주항구에서 이루어진다. 착륙 장면은 NASA TV를 통해 생중계된다. NASA 소속 두 우주인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의 CFT 임무는 원래 ISS에서 약 1주간 머물 예정이었지만 ISS에서 지구로의 출발이 지연되고 있다. NASA와 보잉은 6월 6일 스타라이너의 첫번째 ISS 도킹 시도를 방해했던 추진기 문제를 계속 평가하기 위해 추가 시간을 쓰고 있다. 또
6월 6일 4차 시험발사 때 우주로 치솟는 스페이스X의 스타십 / SpaceX via X 또다른 영화 같은 장면이 추진된다. 착륙하는 로켓을 거대한 로봇팔로 잡아 안전하게 재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CEO다운 발상이다. 이 실험은 바로 다음달 실제로 진행된다. 미국 우주항공 기업 스페이스X는 또 다른 혁신적이고 야심 찬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이달 초 스타십(Starship) 4차 시험발사에 성공한 뒤 곧장 7월말 5차 비행 계획을 밝혔는데, 지구 귀환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방법이 기상천외하다. 속도를 줄여 착륙을 시도하는 로켓을 발사 타워의 로봇팔로 '캐치(포획)'하겠다는 것. 세계 최초의 기동 작전이 성공할지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의 과학매체 AOL.com 등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착지 다리가 없는 슈퍼헤비(Super Heavy)의 귀환 때 발사대에 내장된 거대한 로봇 팔을 사용해 잡는다는 구상을 추진하고 있다. 자율적으로 착륙하는 팰콘 9 시리즈와 달라서 회수와 재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은 것이다. 현존 최대의 로켓인 스타십은 높이 121m, 무게 150t에 달해 빠르게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상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대상지 위치도. / 국토부 국토부가 2026년 상반기 내로 국가산단 지정을 목표로 고흥·울진 국가산단 예타 면제 절차에 착수한다. 국토교통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안'과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고흥·울진 신규 국가산단 조성사업이 국가 정책사업으로 결정됨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3월 미래첨단전략산업 분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15개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를 선정·발표한 바 있다.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단은 국내 유일한 우주발사체 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한 전남 고흥군에 153만㎡ 규모로 조성한다. 우주발사체 제작‧개발을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이노스페이스 등 앵커 기업·스타트업이 입주할 계획이다.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은 152만㎡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 원전 집적지인 경북 울진군에 들어선다. 원전의 무탄소 전력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을 위해 GS건설과 삼성E&A 등 앵커 기업들이 입주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예타 면제를 위한 절차를 최대한 신속하게 마
산업통상자원부가 우주항공, 방산, 수소 분야에서 처음으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을 선정한다. 산업부는 19일 '소부장 으뜸기업 4기 추가 선정 계획'을 공고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추가 공모 분야는 처음으로 대상이 되는 우주항공, 방산, 수소 3개 분야를 포함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등 총 10개 분야다. 소부장 핵심 전략 기술을 보유하면서 전문 연구 인력 보유 등 자격 요건을 충족한 기업은 오는 8월 9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산업부는 2021년부터 국내 최고 수준의 소부장 기술 역량과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곳을 소부장 으뜸기업으로 지정해 지원하고 있다. 선정된 기업은 5년 동안 최대 250억원의 전용 연구개발(R&D), 수요기업 양산 평가 우선 지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글로벌 파트너링(GP) 사업 연계 등의 혜택을 받는다. 앞서 지정된 소부장 으뜸기업은 모두 86개다. 윤성혁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은 "그간 선정된 소부장 으뜸기업은 매출·시가총액이 상승하는 등 우리나라 소부장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에 처음 선정할 예정인 우주항공, 방산, 수소 분야 소부장 으뜸기업도 글로벌 소부장 기업으로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가 IPO 기자간담회에서 배경설명을 하고 있다. / 이노스페이스 “내년 3월 우주발사체 첫 상업 발사를 시작으로, 연내 7회 발사를 성공시켜 민간 우주 수송 시대를 열겠다.” 내달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대표 김수종)가 17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주 모빌리티 플랫폼’ 표준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노스페이스는 기술특례 상장을 통해 7월 중 코스닥 시장에 입성을 목표로 한다. 이달 17일까지 수요예측을 거쳐 20~21일 청약 진행 후, 7월 중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이노스페이스 김수종 대표이사는 “이노스페이스는 국내 유일의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을 보유하고, 지난해 3월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순수 독자 개발한 시험발사체 ‘한빛-TLV’ 발사에 성공해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기업”이라며 “이번 IPO를 통해 글로벌 발사 서비스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해 글로벌 우주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2017년 설립된 이노스페이스는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 기반의 우주 발사체 ‘한빛(HANBIT)’으로 전세계 고
'태양활동 극대기'를 맞아 2026년 그 대응을 논의하는 UN 우주환경 학술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된다. / NASA UN 주최의 대형 우주환경 학술행사가 2026년 한국에서 열린다.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은 "현지시간 14일 독일 노이스트렐리츠에서 폐막한 2024년 UN 국제우주환경학술행사(ISWI)에서 2026년에 열리는 제13회 UN ISWI 개최국을 한국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ISWI(International Space Weather Initiative)는 우주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다양한 피해 현상을 관리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촉진하는 국제학술행사다. 2009년 UN COPUOS(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유엔 우주공간 평화이용 위원회)와 UNOOSA(UN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유엔 우주업무사무국) 주도로 설립됐다. 우주환경센터(현 우주항공청 소속기관)는 2022년부터, 한국천문연구원 및 서울관광재단 등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6년 ISWI 학술행사 유치를 추진해 왔다. 우주환경센터는 유치 전반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였으며, 천문연구원은
성간 우주를 탐사하며 태양계를 벗어난 첫 우주선 보이저 삽화 이미지. / NASA-JPL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가장 오래된 우주 탐사선, 지구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순항 중인 보이저 1호(Voyager 1)가 7개월 만에 되살아났다. 탐사선에 탑재된 과학장비 4개 모두가 데이터를 다시 보내기 시작한 것. 지난해 11월의 기술적 문제로 지상과의 연락이 끊기며 역사적 임무가 끝나는가 싶었는데, 벼랑 끝에서 기사회생했다. NASA와 미국 과학매체들에 따르면, 47년 가까이 활동 중인 보이저 1호가 또다시 역경을 극복하고 온라인 상태로 복귀했다. 성간 우주(interstellar space) 탐사를 이어가는 우주선에 응원을 보내온 보이저 팬들은 극적인 역전승의 기쁨을 맛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NASA는 "6월 13일 보이저 1호가 성간 입자, 자기장, 플라즈마 파동을 연구하는 본연의 임무를 되찾았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가 횡설수설하기 시작한 것은 작년 11월 말. 지난 3월 보이저 팀은 우주선의 무의미한 데이터의 원인을 찾아냈다. 보이저 1호의 비행데이터시스템(FDS)은 과학 장비로부터 우주선 상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ISS 하모니 모듈의 전방 포트에 도킹되어 있는 보잉의 스타라이너(가운데). / NASA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두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한번 연기된 지구귀환 예정일보다 4일을 더 지내야 한다. NASA는 귀환일정이 더 늦춰질 수도 있음을 암시했다. 더 많은 임무 수행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일정을 맞출 수 없게 된 것은 불안 요소다.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보잉의 첫번째 승무원시험비행(CFT)인 CST-100 스타라이너의 ISS 도킹 해제 후 지구귀환은 미국 현지시간 6월 18일에서 22일로 두번째 늦춰졌다. NASA는 14일 "NASA와 보잉은 ISS에서 CFT 임무 종료를 일러야 6월 22일로 목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보잉의 스타라이너가 또 다른 지연에 봉착했기 때문. 10년 가까이 기다린 끝에 발사와 ISS 도킹에 성공한 스타라이너 우주선은 캡슐 내 헬륨 누출과 돌발 상황에 발목이 잡히는 양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NASA의 상용승무원프로그램(CCP)의 일환으로 부치와 수니는 6월 5일 오전 10시 52분 플로리다의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아틀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