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소유즈 로켓이 순항하고 있다. 지상관제실에서는 관제팀이 성공적인 발사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 NASA 한국계 우주비행사로 크게 주목받아온 조니 킴(Jonny Kim)이 드디어 우주로 날아올랐다. 국제우주정거장 ISS에 8개월간 머물며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에 탑승했다. 4월 8일 화요일 오후 2시 47분,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3명의 우주인을 태운 소유즈 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소유즈 MS-27 미션을 수행하는 3명의 우주인은 조니 킴과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소속 우주인 세르게이 리지코프, 알렉세이 주브리츠키. 카자흐스탄 현지시간으로는 8일 오전 10시 47분, 미국 동부표준시로는 오전 1시 47분의 발사였다. NASA와 스페이스닷컴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세계에 중계된 이 발사장면은 한국에서도 큰 기대감 속에 유튜브로 역사적인 발사를 지켜봤다. 카자흐스탄의 맑은 하늘을 배경으로 발사된 소유즈 로켓은 계획대로 하늘로 솟아올랐고, 발사 10분쯤 지난 2시 57분경 소유즈 캡슐 분리가 완전히 끝났다. 이후 몇분 더 캡슐만 상승 비행했고, 목표 높이까지 솟아오르면서 발사 성공이 선언됐다. 조니 킴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오른쪽)은 테오도로 발렌테 이탈리아 우주청장과 엽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청이 우즈베키스탄우주청 및 이탈리아우주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유럽우주청(ESA)과 국제 우주무대에서의 협력 강화 등을 논의했다. 우주청은 8일 윤영빈 청장이 미국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7일 개최된 '2025 스페이스 심포지엄(Space Symposium)'에 참석해 우주 국제협력을 확장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다지는 등 우주 무대에서 한국의 영향력 강화 기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우주청은 7일 우즈베키스탄우주청과 MOU를 체결하고,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관심 사항인 위성개발, 우주 인력양성, 국가 우주정책·전략 경험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우주청은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이 단순한 기술 수출을 넘어, 양국의 동반 성장 기회 창출로 이어지도록 우즈베키스탄의 우주활동을 지원하고, 글로벌 우주 생태계에서 대한민국의 역할을 더욱 확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 우주청은 이날 이탈리아우주청(ASI)과 우주활동 협력에 대한 MOU도 체결했다. 우주청과 ASI는 분야별 공동 작업반을 구성해 협력 의제를 모색
NASA는 EDS 기술을 통해 유리와 라디에이터에서 달 먼지를 제거하는데 성공했다. / NASA 달 탐사는 많은 위험요소가 있는 모험인데, 그 중 하나가 달의 토양이다. 푸석한 돌조각과 먼지로 구성된 '레골리스(Regolith)'라는 이름의 달 표면토는 작은 충격에도 심각한 먼지를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달 착륙선들이 착륙할 때면 피어오르는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게 된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최근 달의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NASA의 '전자기 먼지 차폐체(EDS, Electrodynamic Dust Shield)'는 지난 3월 16일에 미션을 마친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블루 고스트 미션1에서 달의 다양한 표면에서 레골리스를 제거하는 능력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달의 먼지는 매우 거칠고 정전기적이어서 전하를 띠는 모든 것에 달라붙는다. 우주복과 하드웨어부터 인간의 폐까지 모든 것을 손상시킬 수 있어 달의 먼지는 달 표면에서 생활하고 작업하는 데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 EDS 기술은 전기역학적 힘을 사용하여 표면에서 달의 먼지를 들어 올리고 제거한다. 위에 있는 '비포(before)' 이미지는 레골리스 층으로 덮인 유리와
레질리언스 캡슐이 태평양 바다에 부드럽게 내려앉고 있다. / spaceX 레질리언스 캡슐의 지구 귀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 spaceX 레질리언스 캡슐의 문이 열리고, 4명의 민간 우주인이 기쁜 표정으로 지상요원들을 맞이하고 있다. / spaceX 4명의 우주인 중 마지막으로 캡슐에서 나오고 있는 왕춘. / spaceX "드래곤 우주선의 스플래시 다운이 확인됐다. 드래곤이 프램2 승무원들과 함께 귀환했다." 그들이 돌아왔다. 인류 최초로 지구 극지 궤도를 따라 우주비행한 4명의 민간 우주인들이 무사히 태평양 바다위로 귀환했다. 이 역사적 장면을 라이브로 알리던 중계진은 환호성을 터뜨렸다. 스페이스X와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스페이스X의 '프램2' 미션이 미국 동부표준시 4월 4일 오후 12시 18분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한국시간으로 5일 새벽 1시 18분의 일이다.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3월 31일 우주로 발사된 크루 드래곤 캡슐 '레질리언스'는 약 4일간의 우주비행과 각종 실험을 완수하고 지구로 돌아왔다. 이들이 귀환한 곳은 캘리포니아 오션사이드 해안의 태평양 해상. 스페이스X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전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미션 사
'레골리스'를 채취해 생산시설로 가져와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로봇 상상도(맨위 이미지) '달 먼지 태양전지' 제작 개념도(아래 이미지). / Sercan Özen, Felix Lang, Device, 연합뉴스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이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독일 포츠담대 펠릭스 랑 박사팀은 4일 과학 저널 '디바이스(Device)'를 통해 달 레골리스 모사체를 녹여 만든 문글라스(moonglass)와 값싸고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결합해 안정적인 태양전지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달에서 직접 태양전지를 만들면 고효율 태양전지를, 지구에서 가져갈 때보다 운송 물질 무게와 비용을 99% 이상 줄일 수 있다"며 "달 먼지 태양전지가 미래 우주탐사에서 잠재적인 에너지 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 등 세계 각국이 중장기 우주개발 계획으로 달에 유인기지를 건설해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달에서 물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을 만드는 것
독일인 공학자 라베아 로게가 햄통신으로 지상과 교신하고 있다. / X, Chun Wang 궤도에서 맞은 두번째 날, 최초로 우주에서 X레이 촬영을 했다. / X, Chun Wang "궤도까지 가는 여정은 예상보다 훨씬 순조로웠다. 잠깐을 제외하고는 중력의 압박감을 거의 느끼지 못했다. 솔직히 그냥 또 다른 비행처럼 느껴졌다." 인류 최초로 지구 극지궤도를 돌고 있는 '프램2' 우주미션의 사령관인 왕춘(王纯, Chun Wang, '춘 왕'이라고 써왔으나, 자연스러운 중국식 이름으로 '왕춘'으로 쓰기로 함)이 '극지 상공 460km에서 맞은 이틀째 소식'을 알려왔다. 미국시간 4월 1일 첫 소식을 전하고 다음날 2일 우주에서 이틀째를 맞아 드디어 큐폴라를 열고 훨씬 선명한 남극의 모습을 보기도 했다. 소셜미디어 X의 왕춘 계정과 프램2 계정에 실시간 상황과 사진, 동영상이 공개되고 있다. 우주선에서 이런 일이 가능해진 시대다. 먼저 첫날의 상황을 좀더 들어보자. 무중력 상태를 즐기고 있는 승무원들. 왕춘은 촬영을 하고 있어 화면 밖에 있다. / X, Chun Wang '남극 상공 460km'라는 이름으로 공개된 동영상의 일부. / X, Chun Wang "갑자기
2024년 8월 한국군의 정찰위성 2호기를 싣고 발사되고 있는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 / spaceX 우리 군(軍)이 지구로부터 약 500㎞ 떨어진 우주궤도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 등을 들여다볼 수 있는 '군사정찰위성 4호기' 발사 준비에 나섰다. 정찰위성 4호기는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로켓 팰컨9에 탑재돼 4월 23일경 발사될 예정이다. 3일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군은 4월 21일부터 27일 사이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정찰위성 4호기를 발사한다. 일주일간 발사 예비일을 설정한 것은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에 따른 조치다. 현재로선 발사일은 23일이 유력시된다. 정찰위성 4호기 발사는 우리 군이 최초로 한반도와 주변을 감시하는 정찰위성 5기를 띄우는 '425사업'의 일환이다. 425사업은 2015년부터 올해까지 총 1조3000억원이 투입되는 국방 R&D 프로젝트다. 사업명은 정찰위성에 탑재되는 합성개구레이더(SAR)와 전자광학·적외선센서(EO·IR)의 '영어 약자'(SAR+EO)를 붙인 이름이다. 1호기는 EO·IR를 탑재하고 있다. 해상도는 가로·세로 30㎝ 크기의 지상 물
프램2 미션을 수행하고 있는 스페이스X의 드래곤 캡슐에서 촬영한 지구의 극지방 모습. / spaceX, space.com 인류 최초로 지구의 남극과 북극 극궤도를 도는 우주선을 타고 눈으로 직접 그 신비로운 풍광을 확인하고 있는 민간인 우주인 4명. 그들은 지금 적도를 따라 도는 보통의 궤도선과 달리 그것의 수직에 가까운 궤도를 최초로 돌면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 스페이스X와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미국시간 3월 31일 우주비행을 시작한 '프램(Fram)2' 미션의 신참 우주인들 4명은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곤 '레질리언스' 캡슐을 타고 우주를 돌며 지구의 극지방을 관찰했으며 처음으로 우주에서 본 극지방 동영상을 보내왔다. 팰컨9 로켓이 10분간의 짧은 비행을 마치고, 승무원 캡슐을 궤도에 올려놓았고, 캡슐은 현재 순조로운 비행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시간 4월 1일 화요일 이른 아침, 스페이스X는 레질리언스의 앞 해치의 열린 노세콘에서 촬영한 영상을 공유했다. 동영상에는 우주선의 돔형 큐폴라 창과 지구의 극지방을 흰 눈이 담요처럼 덮고 있는 풍경을 담고 있다. 스페이스X는 X에 "드래곤 캡슐이 바라본 지구 극지방의 첫 모습"이라고 썼다. 이 미션의 이름은
3월에 우주로 쏘아올려진 한미합작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6개의 패널로 구성된 첫 이미지를 찍어보냈다. / NASA 한미 합작 우주망원경으로 우주 전체 지도를 그리겠다는 야심찬 목표로 우주로 날아간 '스피어엑스(SPHEREx)'가 드디어 첫번째 우주촬영 이미지들을 보내왔다. 인간의 눈으로는 보거나 연구할 수 없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영역을 찍은 것이다. 촬영은 3월 28일 이뤄졌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현지시간 4월 1일 새로운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공식적으로 '눈을 떴다'고 발표했다. 이날 NASA가 공개한 첫번째 이미지들은 스피어엑스의 모든 시스템이 계획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칼텍과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수석연구원 제이미 복은 "우리가 보고 있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제 우리 연구팀이 확실하게 궤도에 올랐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고 스페이스닷컴이 보도했다. 'SPHEREx'는 '우주의 역사, 재이온화 시대, 얼음 탐험가를 위한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Ice E
프램2 미션의 민간인 4명이 팰컨9 로켓에 실린 드래곤 캡슐을 타고 지구 극궤도 비행을 위해 출발했다. / spaceX, space.com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팰컨9 로켓, 드래곤 캡슐, 그리고 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 4명.... 이렇게 특별한 조합이 또다시 역사적인 우주탐사 비행에 들어갔다. 이번엔 첫 지구 극지궤도 우주비행이다. 한국시간 오늘 4월 1일 오전 10시 46분, 미국 플로리다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팰컨9 로켓은 모험심에 가득 찬 4명의 승무원을 싣고 우주로 날아올랐다. 미국 동부표준시로 3월 31일 오후 9시 46분의 일이다. 승무원은 물론, 지상 관제실의 수많은 연구자들이 흥분 속에서 지켜본 가운데 발사된 팰컨9 로켓은 2분 30초 뒤에 1단 로켓 부스터 분리에 성공했고, 분리된 로켓은 대서양 해상의 드론십에 착륙했다. 발사 5분 30초쯤 뒤의 성공적 착륙이었다. 그리고 5분쯤 뒤 2단계 로켓에서 드래곤 캡슐이 지구 극지궤도에 성공적으로 배치됐다. '프램(Fram)2'라고 명명된 이번 미션은 지구의 극지를 우주공간에서 직접 지나가는 첫 우주비행이다. 그동안 우주비행은 주로 적도 근처의 궤도를 돌았지만, 극지 비행은 더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