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보 발사... 로켓 착륙... 캡슐 착륙... 블루 오리진의 NS-27 미션의 시험비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 X, Blue Origin 제프 베조스의 우주기업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이 두번째 유인 우주선을 무인 상태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원래 계획에서 2주 이상 지연된 시도가 성공해 축제 분위기다. 블루 오리진과 소셜미디어 X,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제프 베조스의 블루 오리진은 미국 동부표준시간 23일 오전 11시 30분(한국시간 24일 오전 0시 30분)에 무인상태로 NS-27 미션을 시작해 새로운 '뉴 셰퍼드 로켓-캡슐 콤보'를 궤도하 우주로 잠시 여행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NS-27에 탑승한 사람은 없었지만, 이 임무에는 12개의 연구 탑재체를 싣고 있었는데 그 중 5개는 부스터에, 7개는 캡슐 내부에 탑재했다. 로켓은 약 101km의 최대 고도에 도달한 뒤 돌아오기 시작해 발사 후 약 7분 20초만에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했다. 그리고 난 뒤 약 3분 후, 새로운 승무원 캡슐인 'RSS 카르만 라인'이 서부 텍사스 사막에 낙하산을 펼치고 착륙했다. 이로써 10분 조금 넘게 걸린 NS-27 미션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와
경남 사천에서 '사천에어쇼'가 24일 개막했다. 다양한 시범비행과 우주항공산업 홍보행사들이 27일까지 펼쳐진다. / 사천시 '사천 비상-우주항공의 꿈! 우리의 힘으로'라는 주제로 사천비행장에서 열리는 경남 '사천에어쇼'가 24일 개막했다. 27일까지 이어진다. 경남도와 사천시·공군·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공동으로 주최한 사천에어쇼는 9개 분야 85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전투기 KF-21의 시범 비행뿐만 아니라 국산 초음속 훈련기 T-50과 한국형 소형 무장헬기(LAH) 시범 비행,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와 호주 폴베넷 에어쇼팀의 곡예비행, 공군 특수임무요원의 전투탐색구조·고공강하 시범 등을 선보인다. 공군 수송기와 대학·경량 항공기 체험 비행, 항공기·무장 장비 지상 전시, 우주항공 대회 등 다양한 볼거리가 가득하다. 주말에는 특별히 블랙이글스의 시범 비행에 이은 사인회도 준비됐다. 이번 주말엔 가을나들이로 사천을 방문해 다양한 에어쇼를 즐겨보는 것도 좋겠다. 경남도는 경남투자청과 함께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 글로벌 우주항공 수도 비전을 담은 주요 정책 홍보와 '우주항공복합도시건설 특별법 통과 응원 이벤트'를 진행한다. 참가 기
줄탁동기(啐啄同機). 병아리가 알에서 깨어나기 위해서는 어미닭과 알 속의 병아리가 함께 안팎에서 쪼아야 한다는 말이다. 한국의 우주산업도 이같이 민관이 힘을 모아 새로운 시대로 도약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의 말이다. 국내 최대 우주기술 전시행사인 ‘2024 국제우주항공기술대전(AEROTEC 2024)’이 23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우주항공청 출범 원년을 맞아 경상남도와 창원시,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고 KOTRA,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등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25일까지 사흘간 열린다. 국내외 우주기업 등이 첨단 신기술과 제품을 전시하는 행사로 글로벌 산업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이날 행사 개막식 축사에서 ‘줄탁동기’를 언급하며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윤 청장은 “우주 산업 생태계는 우주청의 마중물 역할과 발맞춰 민간 기업이 완성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성과를 공유하는 이번 행사가 우주 산업을 가속화할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개막을 축하했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을 맡고 있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우주항공 기술의 지속 발전에 따라 안보 영역뿐 아니라 민간 분야에서
위성을 활용한 글로벌 통신 서비스.... 위성에 만들어지는 데이터센터.... 지상을 넘어 해상, 항공, 우주로 확대되는 6G 시대의 통신혁신이 진행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차세대 6G 이동통신 서비스 발전 방향을 전망하는 '6G 백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6G 백서는 6G와 이전 세대 통신기술의 가장 큰 차별점인 비(非)지상 네트워크를 주제로 작성됐다. 백서에는 비지상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위성인 △저궤도 위성(LEO) △중궤도 위성(MEO) △정지궤도 위성(GEO) 등을 활용해 기존 통신망의 한계를 넘어 전 지구적인 통신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또한 비지상 네트워크의 기술적 발전 방향, 국제 표준화 기구 3GPP의 비지상 네트워크 표준화 현황,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도 다룬다. LG유플러스는 6G 상용화가 고객에게 가져올 새로운 가치와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위성과 엣지 컴퓨팅을 결합한 '위성 데이터센터'가 구축된다는 전망도 내놨다. 이를 통해 도서산간, 오지에서도 데이터 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원격의료 등 고속 저지연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게 된다는
이 눈부신 사진은 NASA/ESA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은하 메시어90의 새로운 이미지다. / ESA, Hubble & NASA 우리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우리에게로 다가오고 있는 은하가 있다. 찬란하게 빛나며 회오리 모양으로 돌고 있는 나선형 은하다. 그 이름은 '메시에 90(Messier 90, M90/ NGC 4569)'. 처녀자리(Virgo) 성단(은하군)에 속해있는 은하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최근 M90 은하의 멋진 모습을 생동감 넘치는 이미지로 공개됐다. NASA/ESA 허블 우주망원경이 만들어낸 이미지다. 처녀자리에 위치한 아름다운 나선 은하 M90. 2019년에 허블은 1994년에 설치된 와이드 필드 및 플래너터리 카메라 2(WFPC2) 데이터로 M90의 이미지를 공개한 바 있다. WFPC2 이미지는 센서의 배치로 인해 독특한 계단 모양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 카메라는 2009년에 와이드 필드 카메라 3(WFC3)로 대체됐고, 허블은 2019년과 2023년에 다시 M90을 촬영할 때 WFC3를 사용했다. 이 데이터는 은하의 먼지 디스크, 가스 헤일로, 밝은 중심 등을 훨씬 더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화
스위스 로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미국 휴스턴, 그리고 대한민국 서울. 이렇게 4개 도시가 우주를 테마로 뭉쳤다.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20일 ‘우주도시협의체(Space Cities Network, 이하 SCN)’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성공적으로 발족했다고 밝혔다. SCN은 서울을 포함한 전 세계 4개 도시가 모여 MICE를 매개로 우주산업 분야의 국제협력을 도모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추진됐다. 이 협의체는 스위스 로잔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서울은 2023년 11월 제안을 받아 2024년 1월부터 구성 도시로 참여했다. 구성 도시는 서울을 비롯하여 로잔, 크라이스트처치, 휴스턴이며, 각 도시의 도시마케팅 지원기관이 참여했다. 이후 세계 각 대륙의 다양한 도시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협의체 소개, 홍보영상 상영 등을 통해 우주도시협의체의 공식 출범을 알렸고, 각 기관에서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국내외 홍보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었다. SCN은 향후 우주 분야의 대표 국제 협력체로 자리매김하고자 학술‧자문위원회 및 영프로페셔널위원회 운영, 국제회의 상호 개최 및 유치, 협의체 홈페이지 개설, 회원기관 확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NASA는 모의화성에 거주할 4명의 승무원을 선정해 발표했다. 왼쪽부터 크리스틴 마가스, 앤더슨 와일더, 오베이드 알수와이디, 티파니 스나이더. / NASA 화성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서 45일 동안 고립된 생활을 하는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실험연구가 11월 1일 시작된다. NASA는 휴스턴에 있는 존슨 우주센터의 모의 화성 거주지에서 2024년 마지막 모의거주 임무에 참여할 4명의 연구지원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NASA는 현지시간 18일 오베이드 알수와이디, 크리스틴 마가스, 티파니 스나이더, 앤더슨 와일더가 모의 화성 입주자로 선정됐으며, 이들은 거주지에 45일 동안 머물게 된다고 밝혔다. 11월 1일 금요일에 650평방피트 규모의 HERA(human exploration research analog) 시설에 입소해 45일 동안 우주비행사처럼 생활하며 연구와 일상 활동을 하게 된다. 이들은 화성거주와 지구로의 귀환 시뮬레이션을 거쳐 12월 16일에 시설에서 출소하게 된다. 조던 헌들리와 로버트 윌슨 등 2명의 대체 승무원도 선정해 두었다. 과학자들은 HERA 연구를 통해 NASA가 우주비행사를 달, 화성 및 그 너머로 우주비행을 보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의 시험발사체 '블루 웨일 0.4'. / 페리지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이하 페리지)는 10월중 예정했던 준궤도 시험발사를 내년 1분기로 연기한다고 18일 밝혔다. 준궤도 발사체는 자체 추진기관으로 100㎞ 이하 높이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떨어지도록 제작된 발사체를 말한다. 페리지는 당초 자체 개발한 준궤도 시험발사체 '블루웨일(BW) 0.4'를 제주도 해상에 위치한 자체 해상발사플랫폼(MLP)에서 이달 발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종 리허설 단계에서 보완 사항이 발견돼 일정을 연기했다. 거듭된 악천후로 RBF(비행 전 제거) 핀 체결 부위를 수십차례 연결 및 해제해야 했는데 그 과정에서 점화 부품에 접촉 불량이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발사 시 리스크를 전반적으로 다시 점검·보완하기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최적의 기상 조건 등 외부 환경을 고려해 내년 1분기 시험발사를 재추진할 예정이다. 신동윤 페리지 대표는 "계획한 발사 일정 내에 진행하지 못해 아쉽지만 해상발사 운용 능력과 해상에서의 다양한 변수를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자산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준비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자산을 바탕으로 신뢰도 높고 안전한 시험발사를
최근 밀라노에서 공개된 차세대 우주복. 액시엄 스페이스와 프라다가 협력해 제작했다. / Axiom Space 일반적인 흰색 바탕에 프라다를 상징하는 빨강과 회색 선형부위가 들어있는 신형 우주복. / Axiom Space 2026년 달에 갈 우주비행사들이 입을 명품 우주복이 공개됐다. 첨단 우주기업과 명품 패션기업의 콜라보레이션이다. 미국 항공우주국과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액시엄 스페이스와 프라다가 현지시간 16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아르테미스 3호 임무에 사용될 차세대 달 우주복을 발표했다. 아르테미스 3호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약 반세기 만에 추진되는 달 유인 착륙선으로, 2026년 9월 발사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인류 최초로 여성과 유색인종이 달 남극에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NASA의 차세대 우주복을 개발하는 액시엄 스페이스는 프라다와 파격적인 협업을 통해 고도의 기능과 미학이 결합한 우주복을 제작했다. 지난해 프로토타입(시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이날 최종판을 공개했다. 전체적으로 흰색이지만 프라다를 상징하는 빨간색 줄무
"우주탐사는 어려운 미션이다. 그래서 우리는 많은 참여국들을 필요로 한다." 많은 국가들이 미국 주도의 아르테미스 협정(the Artemis Accoeds)'에 서명하고 있는 가운데,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고 있는 IAC 즉 국제 우주항공총회에 참석한 캐나다 우주청장 리사 캠벨은 에스토니아의 협정 참여를 환영하면서 위와 같이 말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와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유럽의 소국 에스토니아가 아르테미스 협정에 10월 14일 서명함으로써, 협정의 45번째 참가국이 되었다. 아르테미스 협정은 달과 심우주 탐사를 위한 원칙과 가이드라인, 최선의 실행방식 등을 규정하고 있는 국제협정으로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아르테미스 미션을 백업하고 있다. 이번 IAC에서 에스토니아를 맞이한 멤버국들은 내년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2025 IAC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다. 팸 멜로이 NASA 부국장은 중국의 가입에 대해서도 "언젠가 중국도 아르테미스 협정에 사인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아프리카의 이집트처럼 중국과 협력해 우주탐사를 하고 있는 나라들도 협정 안으로 끌어들일 것이라고 밝혔다. ▶아르테미스 협정의 모든 것 h